eclipse VariableScope
변수선언을 어디서 했는지가 중요. num3와 num4는 선언 위치에 따라 System.out.println();을 했을 때 결과값이 제대로 나오거나 다르게 나온다.
eclipse TypeText
\u는 유니코드를 의미. //??에서 ('A' +10)을 출력하면 숫자값이 나오는데, char이어도 연산이 들어가 숫자값이 나오고, 문자에도 고유숫자가 존재하기 때문
int와 double은 기본 채택. 다른 걸 표시하려면 따로 나타내줘야 한다.
eclipse TypeInteger
Long은 L을 붙여주어야 함. 4byte-int가 아님을 알려주기 위해
eclipse CastingEx01
크기에 따라 자동형변환이 이루어진다. 단, 큰 순서가 있으니 알아둘 것.
eclipse CastingEx02
크기가 큰 타입을 작은 타입으로 변환할때 명시적 형변환을 해주어야 한다. 이를 캐스팅이라 함.
char와 short는 크기가 같으나 문자형과 숫자형이기 때문에 형변환이 필요하다.
eclipse CastingEx03
연산이 이루어지면 대체로 int로 변환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캐스팅을 해 주어야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실수와 정수가 붙으면 실수가 된다.
eclipse OperatorEx01
++a와 a++의 의미에 반드시 주목할 것. 언제 ++가 이루어지는지 순서가 다르며 결과값에 차이가 크게 난다.
참고) byte계산 시 이진수가 음수일 때 그 값을 확인하려면 같은 이진수를 더했을 때 0이 나오는지 확인
->n을 이진수로 만든 후 뒤집고 1을 더하면 -n값이 나온다.
eclipse OperatorEx02
비교연산은 boolean으로 나온다.
eclipse OperatorEx03
if뒤에는 조건이 온다. true라면 if문 실행, false라면 else문 실행
&&와 ||는 앞항을 검사해서 결과가 정해지면, 뒤를 실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구문 뒤에 연산이 있어도 결과가 정해지면 그 연산은 실행되지 않는다.
&&와 ||가 붙으면 &&가 연산속도가 더 빨라 &&를 먼저 연산한다. ||를 먼저 연산하려면 ()를 사용해야 함!!
eclipse OperatorEx04
연산자 순서에 주의할 것. +=나 -=, *=등 =의 위치 확인하기
eclipse Quiz01
변수선언을 확실히 확인할 것. ++c는 단행에서 이루어지므로 숫자값이 아닌 문자가 출력된다.
eclipse OperatorCondition
3항연상자는 조건식 ? 연산식1 : 연산식2 으로 이루어진다.
조건문이 참이면 1실행, 거짓이면 2 실행
eclipse ScannerEx
입력과 관계된 스캐너 생성. 추가 공부 필요...우선은 스캐너를 실행할 때
Scanner scan = new Scanner(System.in);
= scan.next();
= scan.nextInt();
scan.close(); 등 입력해야 하는 것들이 있음을 알아놓을 것
+scan의 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