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1026 Github 사용
<Git hub 깃허브>
1.용어
repository : 저장소, 가장 큰 개념의 저장소
branch : 저장소 안에 변경 내용을 저장하는 저장점
merge : branch를 통합 - Github에선 pull request
commit : 변경 내용을 로컬 git에 반영
push : 변경 내용을 웹의 git에 반영
pull : 변경 내용을 받아오는 것
OAuth : 공통된 로그인 방식
2.git hub에서 토큰을 생성
=>최근에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계속해서 로그인하지 않고 처음 한 번만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이용해서 로그인을 하고
token을 발급받아서 token을 이용해서 로그인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을 많이 사용합니다.
3.eclipse의 경우는 github에서 repository를 먼저 생성한 후 업로드 하므로 repository URL을 복사
https://github.com/Youngjae-Joo/GitHubTest.git
4.프로젝트 업로드
1) eclipse에서 window- Show view-other-git-git repository
2) git repository창에서 clone a git repository나 녹색 화살표가 있는 아이콘을 클릭한 후 url을 붙여넣기
3) 프로젝트와 git을 연결
프로젝트 우클릭-team-share project
4)변경 내용을 서버에 전송
프로젝트를선택하고 마우스 우클릭-team-commit누르고 적용할 파일들을 아래로 드래그하고
메시지를 입력한 후 commit and push를 누르고 아이디와 토큰 번호를 입력-비밀번호로 나오는데 비번이 아니라 토큰임
형상 관리(Software Configuration Management) : 변경사항을 관리
.git
Local git-내 컴퓨터 / Git Hub-서버의 개념
commit-로컬 깃에 저장하는 것.
Local->hub
push
Local<-hub
pull
Fetch(확인)-받아오진 않음
먼저 확인하고 가져오기.
Origin(master) : 원본
branch : 변경된 snap shot을 만듦-오리진을 그대로 놔두고 변경된 걸 가짐. 그걸 snap shot이라고 함
merge : branch들을 합치는 것
5.eclipse에서 생성한 프로젝트 가져오기
1)가져올 repository 확인하기
2)eclipse에서 file 메뉴에서 import 클릭->Git->projects from Git을 선택한 후 clone URL을 누르고 repository 주소를 입력하고 저장 위치 선택
디렉토리에 같은 이름의 프로젝트가 있으면 에러가 난다. 대부분의 이유가 동일한 이름의 프로젝트나 로컬 git이 존재하기 때문임
이클립스에서 수정을 하면? team->commit이 되면 push/또는 commit부터 다시
반대로 깃허브에서 수정을 하면? team->pull / fetch는 확인만 함
6.Branch 만들어서 저장
=>프로젝트-마우스 우클릭->team->switch to->new branch를 눌러서 branch 작성